<p></p><br /><br /><p>Q. 여량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오늘 첫 번째 제목은 '자리를 비운 사이' 자리를 비운 사람 누굽니까? <br><br>네, 어제 민주당 의원총회가 있었습니다. <br><br>그런데 한 사람의 모습이 보이지 않죠? 바로 이해찬 대표인데요, 이 대표는 러시아 집권여당과의 정당 교류를 위해 22일 러시아로 떠나 오늘 귀국했습니다. <br> <br>Q. 그런데 그 사이에 어떤 일이 벌어진 건가요? <br><br>이해찬 대표가 빠진 어제 의원총회에서 지도부 책임론이 불거졌습니다. <br><br>조국 전 장관 사태 이후에 지도부가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조응천 의원은 어제 의총에서 조국 사태로 지옥을 맛봤는데, 지도부 인식이 너무 안이하다, 이렇게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이철희 의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당이 무기력해진 책임이 이해찬 대표에게 있다, 이렇게 직격탄을 날렸습니다. <br> <br>Q. 지금까지 여야가 강 대 강 충돌로 갔었는데, 여당 내부에서도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는 분위기잖아요. <br><br>네 맞습니다. 이들의 반기를 든 건 처음이 아닙니다. <br> <br>[조응천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그제, 채널A '김진의 돌직구쇼')] <br>"(조국 전 장관 부부가) 공시 직전에 시가보다 싼 가격으로 주식을 대량 매입했는데 그 차이가 있다라고 한다면 제가 검사라면 이건 뇌물이 아니냐 반드시 수사를 집중할 것이고…"<br> <br>이철희 의원은 민주당 지도부의 무분별한 공세에 "낡은 정치 문법"이다, 이렇게 비판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Q. 민주당의 이런 추세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? <br><br>다음주에 민주당은 다시 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는데요, 이때도 쇄신파가 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.<br> <br>오늘 제가 조응천 의원, 이철희 의원에게 각각 별도 인터뷰를 요청했습니다. <br><br>그런데 이런 답이 돌아왔습니다. <br> <br>조 의원은 당원들에게 욕을 많이 먹고 있다, 이 의원은 주말에는 얘기하고 싶지 않다, 이러면서 모두 인터뷰를 거절했는데요, 아무래도 친문 지지자들의 비판에 큰 부담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변수가 있습니다.<br><br>어젠 없었지만, 다음주 수요일에는 있을 이해찬 대표의 존재입니다. <br><br>[강창일 / 더불어민주당 의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총회 (지난 7월 4일)] <br>"대한민국 정부도 원칙과 명분에 집착하다보니까 시기 놓쳐버린 부분이 있습니다."<br> <br>정부를 비판하자 4선인 강창희 의원 말을 가로막은 건데요, 과연 초선 쇄신파들이 이해찬 대표 앞에서 <br>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을까요? <br> <br>오늘의 한마디는 "비판의 자유를 허하라!" 이렇게 정했습니다. <br> <br>Q. 초선이니까 더 용기 있게 할 수 있을 것도 같네요, 내부 비판이 없는 조직은 어디다 경직될 수밖에 없을 텐데, 다음 주제로 넘어갈 보겠습니다. 두 번째 제목은 '거침없는 시장님'역시 박원순 서울시장 얼굴이 나오는 군요. <br><br>네 맞습니다. 박 시장이 어제 공개한 김어준 씨의 유튜브 방송에서 거침없는 입담을 선보였습니다. <br> <br>[박원순 / 서울시장 (어제, 유튜브 채널 '김어준의 다스뵈이다')]<br>"(국정감사장에서) 보니까 많이 김성태 의원이 죽긴 죽었더라고. 옛날에는 고래고래 고함치고 그랬는데. 나한테 걸리면 다 죽어~"<br> <br>Q. 워낙 김어준 씨랑 평소에 친한 편이잖아요. 그래서 편하게 인터뷰한 거 같은데, 그래도 표현이 좀 거칠지 않았나 싶네요. <br><br>네 맞습니다. 박 시장은 야당의 무분별한 공세를 두고 응징해야 한다, 이렇게도 말했는데요, 실제 국정감사 당시 야당 의원들과의 전투를 즐기는 듯한 그런 모습을 보였습니다. <br><br>[김석기 / 자유한국당 의원 (지난 17일, 국토위 국정감사)]<br>"서울시가 서울시민 세금 8억 원을 들여서 만든 연구보고서 내용이 북한의 평양시 발전 계획입니다. 우리가 통일이 되면 대한민국의 수도를 평양으로 해야 한다, 이런 생각 갖고 계십니까?" <br> <br>[박원순 / 서울시장] <br>"저는 그것을 모독적 발언이라 생각합니다. 저는 그 부분은 사과를 좀 하셔야 된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[송언석 / 자유한국당 의원 (지난 17일, 국토위 국정감사)]<br>"박원순 시장의 딸이 서울대 미대에서 법대로 전과하는 데 논란이 있었고…" <br><br>[박원순 / 서울시장] <br>"그렇게 하는 것은 저는 비열한 행위, 명예훼손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[이혜훈 / 바른미래당 의원] <br>"시장님, 국회의원들이 국감하는데 '비열하다' 이런 말씀을 하시는 건 좀 과한 것 같은데…" <br> <br>[박원순/ 서울시장] <br>"저는 하나도 과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." <br> <br>Q. 일단 아니라고 딱 잘라 얘기하지 않으면서도 준비하고 작정하고 답변하는 듯한 모습이네요. <br><br>박원순 시장의 거친 언쟁은 아마도 이런 분석과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. <br> <br>[이언주 / 무소속 의원 (지난 14일, 행안위 국정감사)] <br>"여당의 대권후보 주자가 다 몰락해서 시장님밖에 안 남았다, 이런 얘기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?"<br> <br>박원순 시장, 대선주자로서 강한 모습을 어필하고 싶은 게 아닌가 싶은데요, 어제 방송에선 언론을 향해서도 강한 불만을 쏟아냈습니다. <br> <br>[박원순 / 서울시장 (어제, 유튜브 채널 '김어준의 다스뵈이다')] <br>"언론이 진실인지 아닌지 스스로 판단해서 기사를 써야 되는데, 무조건 쓰는 거예요. 징벌적 배상제도라는 게 미국에 있더라고요. 왜곡해서 그렇게 쓰면 완전히 패가망신 하는 겁니다."<br><br>네 무조건 쓴다는 건 아닐 거고요, 김어준 씨가 서울시 산하 TBS 진행자잖아요, 이왕이면 언론에 대한 얘기는 채널A가 시청에서 멀지 않으니 이왕이면 언론사에 나와서 불만을 제기하면 어떨까 하는 제안도 드립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/p>